- Today
- Total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Act99 기술블로그
[항해99 실전프로젝트 2주차 / docker error] docker daemon error & system has not been bootted ~~ PID1 error 본문
개발팁저장소
[항해99 실전프로젝트 2주차 / docker error] docker daemon error & system has not been bootted ~~ PID1 error
Act99 2022. 3. 7. 13:56WebRTC 를 사용하다가, 테스트 미디어 서버 구축을 위해 잠시 Docker 설정을 하게되었다.
현재 나의 os 환경은 linux, ubuntu 20.0.4 버전이며, zsh 를 이용해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다.
미디어 서버 도커 이미지를 사용하기 위해 도커를 실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docker run -p 4443:4443 --rm -e OPENVIDU_SECRET=MY_SECRET openvidu/openvidu-server-kms:2.20.0
docker: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See 'docker run --help'.
따라서 docker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sudo systemctl status docker
를 한 결과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에러가 발생했다.
이는 WSL를 이용할 경우 따로 설정을 해줘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류이다.
블로그를 찾아본 결과 /etc/init.d/docker 에서 실행하는 방법도 있지만
아래 패키지를 설치하고 실행하면 해결된다고 한다.
sudo apt-get install cgroupfs-mount
sudo cgroupfs-mount
sudo service docker start
하지만 이 역시 오류가 계속 발생했다.
따라서 나는 WSL 전용 docker desktop 을 이용하기로 했다.
공식문서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tutorials/wsl-containers
WSL에서 Docker 컨테이너 시작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Docker 컨테이너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공식문서대로 하니 잘 되었다.
'개발팁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5기 B반 실전 프로젝트 회고록 (0) | 2022.04.11 |
---|---|
wsl 로 리액트 실행했을 때, 로컬호스트 연결 안된다면? (0) | 2022.03.28 |
[항해99 1주일 클론코딩] - 슬랙 (Slack) 클론코딩 (0) | 2022.02.24 |
[항해99 미니프로젝트] 1주일간의 프로젝트 (title: 공구리) (0) | 2022.02.17 |
[클로저 & 프로토타입] - 클로저와 프로토타입에 대한 이해 (0) | 2022.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