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extjs
- Firebase
- typeorm
- nestjs
- react
- Redux
- graphql
- 에러
- 채팅
- API
- 차트만들기
- websocket
- 코인
- 주식
- 비전공자
- javascript
- 3주차
- Flutter
- Coin
- 차트
- rtk
- 주식차트
- 코인차트
- apollo
- typescript
- 항해99
- 리액트
- error
- chart
- 차트구현
Act99 기술블로그
항해99 3주차 / 토큰 기반 인증 본문
[옛날 이야기 - 세션 기반 인증]
예전에는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서버가 전부 가지고 있었다. 서버의 세션에 사용자 정보를 넣고 이 사람이 로그인을 했나 안했나 전부 기록하고 기억했다. (사용자 세션에)
이 세션은 서버의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해두는데, 로그인한 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 과부하가 온다.
그렇다고 서버를 여러개 놓자니 관리가 까다로워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토큰 기반 인증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토큰 기반 인증 방법
1. OAuth2.0
외부서비스의 인증 및 권한부여를 관리하는 프레임워크이다.
=> Open Authentication, Open Authorization 이라고 한다. (인증과 허가를 포함)
OAuth 동작방식
간단하게는 3가지 방식으로 동작한다.
1.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인증(로그인)을 하면 서버가 access_token 을 준다.
2. 클라이언트는 access_token을 이용해 API 요청을 할 수 있다.
3. 서버는 API 요청을 받고, access_token 을 가지고 권한이 있나 없나 확인해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보내준다.
조금 정확하게 말하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ex) 유저가 구글 로그인을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을 해본다
공식적으로 쓰는 용어와 함께 가졍할 것이다.
여기서 구글은 유저의 정보도 가지고 있을 것이고, 로그인을 검증도 해줄 것이다.
즉, 구글은 Resource Server(자원 서버) + Authorization Server (권한서버)이다.
유저는 그 정보를 가진 사람이니 Resource Owner(자원 소유자)라고 부른다.
(구글에서 주는 유저 정보는 Resource(자원)이라고 부른다.)
1. 유저가 구글 로그인을 한다.
- 자원 소유자가 자원 서버에 권한을 요청한 것이다.
2. 구글은 로그인할 때 유저가 입력한 정보(아이디, 비밀번호 등)을 보고 클라이언트(우리의 웹사이트)에 접근 권한을 줌
3. 클라이언트는 이 권한을 가지고 Authorization Server (권한 서버)에 access_token을 요청한다.
4. 클라이언트는 이 access_token을 가지고 구글에서 유저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5. 구글은 클라이언트가 보낸 access_token을 가지고 권한이 있나 없나 확인해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보내준다.
2. JWT (Json Web Token)
JWT란? => 토큰의 한 형식이다. 데이터가 JSON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토큰이다.
- 생김새 : [header].[payload(내용)].[signature(서명)]
* header: 토큰 타입과 암호화 방식 정보가 들어간다.
* payload: 토큰에 담을 정보가 name:value 쌍으로 들어간다.
* signature: 서명 정보이다. secret key를 포함해서 header와 payload 정보가 암호화 되어 들어간다.
- 동작 방식: 토큰 기반 동작 방식대로 움직인다.
* 유저가 로그인을 시도하면,
* 서버가 요청을 확인하고 secret key를 가지고 access_token을 발급한다.
* 클라이언트에 JWT를 전달하고
* 클라이언트는 API 요청할 때 authorization header 에 JWT를 담아 보낸다.
* 서버는 JWT의 서명을 확인하고 payload에서 정보를 확인해 API 응답을 보낸다.
JWT vs OAuth?
JWT와 OAuth는 로그인에 많이 쓰이는 두 인증 방식입니다.
뭘 택할지 자주 고민하게 되지만 사실 비교하긴 조금 애매해요.
JWT는 토큰의 한 형식이고 OAuth는 프레임워크거든요.
(OAuth에서 토큰으로 JWT를 사용할 수도 있고요. 🙂 )
'개발팁저장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4주차 WIL] ORM & NoSQL vs SQL (0) | 2022.02.04 |
---|---|
항해99 3주차 / 웹 저장소 (feat. 토큰) (0) | 2022.02.01 |
항해99 3주차 / Callback & Promise (0) | 2022.02.01 |
항해99 3주차 리액트 입문 전 알아야 할 기본 개념 (0) | 2022.01.25 |
Javascript - 배열을 합칠 때 중복 제거하는 방법 / set /// 기타내용 (0) | 2022.01.25 |